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MariaDB
- Windows 10 Home
- 라떼판다 우분투
- LattePanda NAS
- MySQL
- podman
- openstack
- RHEL 8
- RHEL
- Rocky Linux
- WireGuard
- MSA
- haproxy
- centos 7
- LattePanda
- Kubernetes
- ubuntu
- PostgreSQL
- nextcloud
- Packstack
- RHEL 7
- 라떼판다
- Openstack Rocky
- CentOS 8
- RDP Wrap
- CentOS
- 라떼판다 NAS
- Rocky Linux 8
- LattePanda Ubuntu
- 자작 NAS
Archives
- Today
- Total
간마늘작업소
[Ubuntu] Ubuntu Server에 한국어 지원 & 한글 입력 & 기본 시간대 변경 본문
0.개요
-
- Ubuntu Server는 Ubuntu Desktop과는 다르게 한국어 및 한글 입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음.
- 시간대 역시 서울/도쿄 표준시 지정 불가능.
- 따라서 이를 수동으로 설정해야함.
1.vi 편집기 다운로드
sudo apt-get update && sudo apt-get upgrade -y
- 리포지토리 연결 및 업데이트.
sudo apt-get install vim
- vi 편집기 다운로드.
-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지 않음.
2.한국어 지원
sudo apt-get install language-pack-ko
- language-pack-ko 패키지 다운로드.
sudo vi /etc/default/locale
- 설정 파일 수정.
(전략)
LANG=ko_KR.UTF-8
- 최 하단에 ko_KR.UTF-8을 추가.
- 설정 후 저장.
sudo vi /etc/environment
- 설정 파일 수정.
(전략)
LANG=ko_KR.UTF8
LANGUAGE=ko_KR:ko:en_GB:en
- 최 하단에 위와 같이 2줄 추가.
- 설정 후 저장.
3.한국 폰트 설치
sudo apt-get install fonts-nanum*
- 나눔글꼴 패키지 다운로드.
sudo reboot
- 시스템 재시작.
4.시간대 변경
sudo timedatectl set-timezone 'Asia/Seoul'
- 서울/도쿄 표준시로 시간대 변경.
'Linux > 02.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buntu]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하기 (0) | 2022.10.12 |
---|---|
[Ubuntu] 리포지토리 미러 사이트 변경 (0) | 2022.08.30 |
[Ubuntu] 고정 IP 설정 하기 (0) | 2022.07.06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