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RDP Wrap
- Windows 10 Home
- WireGuard
- MSA
- RHEL 7
- 라떼판다 NAS
- centos 7
- Openstack Rocky
- Rocky Linux 8
- Rocky Linux
- RHEL
- LattePanda Ubuntu
- Packstack
- CentOS
- MySQL
- LattePanda NAS
- 라떼판다 우분투
- podman
- RHEL 8
- 자작 NAS
- openstack
- haproxy
- MariaDB
- Kubernetes
- ubuntu
- CentOS 8
- PostgreSQL
- 라떼판다
- nextcloud
- LattePanda
Archives
- Today
- Total
간마늘작업소
[RHEL / CentOS / Rocky Linux] LVM 구성 본문
0.개요
- Logical Volume Manager.
- 논리 볼륨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자 프로그램.
- 기존 방식에서는 파일 시스템이 블록 장치에 직접 접근해서 읽가/쓰기를 진행.
- LVM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이 LVM이 만든 가상의 블록 장치에 읽기/쓰기 진행.
- 용량 크기 조정, 온라인 데이터 재배치 등 다양한 기능 제공.
1.사전 작업
1.1.fdisk를 이용한 파티션 생성
fdisk -l
- 파티션을 생성할 디스크 정보 확인.
- 테스트 장치 : /dev/xvdb
fdisk /dev/xvdb
- fdisk 콘솔로 접속.
- p
- 현재 파티션 정보 확인.
- n
- 신규 파티션 생성.
- partition type : p
- Default 값으로 진행.
- partition number : 1
- Default 값으로 진행.
- First sector :
- Default 값으로 진행.
- Last sector :
- 잔여 전체 용량을 지정할 경우 Default 값으로 진행. 특정 용량으로 제한하고 싶다면 해당 수치를 입력.
- t
- 파티션 시스템 ID 변경.
- Hex code : 8e
- Linux LVM에 해당되는 ID로 설정.
- p
- 현재 파티션 정보 확인.
- 새로 만든 파티션 확인.
- 현재 파티션 정보 확인.
- w
- 저장 및 종료.
2.LVM 생성
2.1.Pysical Volume 생성
pvcreate /dev/xvdb1
- /dev/xvdb1에 물리 볼륨 생성.
- 물리 볼륨 삭제 : pvremove /dev/xvdb1
pvdisplay
- 생성된 물리 볼륨 확인.
2.2.Volume Group 생성
vgcreate myvg /dev/xvdb1
- 볼륨 그룹 생성.
- 이름 : myvg
- 그룹에 포함시킬 물리 볼륨 : /dev/xvdb1
- 볼륨 그룹 삭제 : vgremove myvg
vgdisplay
- 생성된 볼륨 그룹 확인.
2.3.Logical Volume 생성
lvcreate --extents 100%FREE -n mylv1 myvg
- 논리 볼륨 생성.
- 이름 : mylv1
- 논리 볼륨 생성에 사용할 볼륨 그룹 : myvg
- 설정 정리
- --extents 100%FREE : 전체 용량을 다 사용해서 생성.
- -L ???MB : ??? MB만 사용해서 생성.
- 논리 볼륨 삭제 : lvremove mylv1
lvdisplay
- 생성된 논리 볼륨 확인.
3.볼륨 마운트
mkdir /data
- 마운트 위치 확인.
- 해당 문서에서는 /data 디렉토리에 마운트.
mkfs.xfs /dev/myvg/mylv1
- xfs 포맷으로 볼륨 포맷.
mount /dev/myvg/mylv1 /data
- 볼륨 마운트.
'Linux > 01.RHEL, CentOS, Rocky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HEL / CentOS] 네트워크 본딩 처리 (7 버전) (0) | 2022.08.29 |
---|---|
[RHEL] CentOS 혹은 Rocky Linux의 미러 사이트 리포지토리 사용하기 (0) | 2022.07.05 |
[RHEL / CentOS / Rocky Linux] 최초 설치 후 SELinux, 방화벽 비활성화, hostname 변경 (0) | 2022.06.23 |
[RHEL / CentOS / Rocky Linux] CDROM으로 로컬 리포지토리 만들기 (0) | 2022.06.23 |
Comments